Z세대가 자주 사용하는 슬랭 정리
게임을 하면서 분명 같은 영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해가 되지 않는 대화 내용들이 나오곤 했습니다.
단어의 뜻과는 전혀 다르게 사용되고 있거나, 처음 들어본 단어들도 있었는데 알고 보니 미국 Z세대가 자주 사용하는 미국식 슬랭이었던 것이었습니다.
SNS나 메신저에서 자주 사용되는 영어 슬랭과 그 유래, 그리고 이전 세대가 사용했던 대체 표현을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1. Slay
- 의미: "압도적으로 잘하다" 또는 "매우 멋지다"는 의미
- 예문: "You slayed that presentation today!" (너 오늘 발표 완전 잘했어!)
- 어원: ‘Slay’는 원래 "죽이다"라는 의미를 가진 동사이지만, 1980년대 흑인 LGBTQ+ 커뮤니티에서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SNS를 통해 널리 퍼졌습니다.
- 대체 표현 (이전 세대): "You did great!", "You rocked it!"
2. Rizz
- 의미: ‘Charisma(카리스마)’의 줄임말로, 사람을 매력적으로 사로잡는 능력
- 예문: "He's got mad rizz; everyone loves talking to him." (그 친구는 완전 매력 덩어리야. 모두 그와 대화하는 걸 좋아해.)
- 어원: ‘Rizz’는 ‘charisma’를 줄여 만든 단어로, 2021년경부터 TikTok에서 유행하기 시작했습니다.
- 대체 표현 (이전 세대): "He's charismatic.", "He's charming."
3. Mewing
- 의미: 혀를 입천장에 붙이는 얼굴 윤곽 개선 운동
- 예문: "I've been practicing mewing for a sharper jawline." (나는 날렵한 턱선을 위해 뮤잉 연습 중이야.)
- 어원: 이 용어는 영국 치과 의사 Dr. John Mew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그의 아들이 이를 더 체계적으로 발전시키면서 인터넷에서 인기를 끌었습니다.
- 대체 표현 (이전 세대): "Jawline exercises", "Facial posture techniques"
4. No Cap
- 의미: ‘거짓말 아님’, ‘진심으로’라는 뜻
- 예문: "That movie was the best I've seen this year, no cap." (그 영화 올해 본 것 중 최고였어. 거짓말 아냐.)
- 어원: ‘Cap’은 ‘거짓말’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No Cap’은 ‘거짓말 아님’이라는 뜻으로 2010년대 랩 음악에서 유래되었습니다.
- 대체 표현 (이전 세대): "No lie", "I'm serious"
5. Bet
- 의미: ‘알겠어’ 또는 ‘좋아’의 뜻으로 동의나 확인을 나타냄
- 예문: "Can you send me the notes from class?" "Bet." (수업 노트 보내줄 수 있어?) "응, 당연하지."
- 어원: 원래 ‘내기(bet)’라는 의미였으나, 2010년대 후반부터 ‘확인’ 또는 ‘좋아’라는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 대체 표현 (이전 세대): "Alright", "Okay"
6. Mid
- 의미: ‘그저 그런’ 또는 ‘평범한’
- 예문: "The new album was kind of mid; I expected more." (새 앨범 좀 평범했어. 더 기대했는데.)
- 어원: ‘Middle(중간)’의 줄임말로, 2020년경부터 TikTok과 트위터에서 유행하기 시작했습니다.
- 대체 표현 (이전 세대): "Average", "Mediocre"
7. Huzz
- 의미: 여성(특히 젊은 여성)을 가리키는 신조어
- 예문: "He's always hanging out with the huzz after school." (그는 방과 후 항상 여자애들이랑 어울려.)
- 대체 표현 (이전 세대): "Girls", "Ladies"
8. Bruh
- 의미: 친구나 상대방을 부를 때 쓰는 표현 (‘bro’의 변형)
- 예문: "Bruh, did you just see that?" (야, 너 방금 그거 봤어?)
- 어원: ‘Bro’(형제, 친구)의 변형으로 2010년대부터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 대체 표현 (이전 세대): "Dude", "Man"
9. Bussin'
- 의미: ‘아주 맛있는’ 또는 ‘훌륭한’
- 예문: "This pizza is bussin'!" (이 피자 진짜 맛있다!)
- 어원: ‘Bussin’은 원래 2000년대 흑인 영어(AAVE, African American Vernacular English)에서 음식이 맛있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이후 TikTok을 통해 대중화되었습니다.
- 대체 표현 (이전 세대): "Delicious", "Tasty"
10. Sus
- 의미: ‘수상한’ 또는 ‘의심스러운’
- 예문: "He’s been acting kinda sus lately." (그 친구 요즘 좀 수상해.)
- 어원: ‘Suspicious(의심스러운)’의 줄임말로, 2018년 게임 ‘Among Us’의 인기와 함께 폭발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대체 표현 (이전 세대): "Suspicious", "Sketchy"
마무리
이처럼 미국 Z세대 사이에서는 짧고 간결한 표현이 유행하며, SNS와 밈(meme) 문화의 영향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표현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바뀌며, 이전 세대가 사용했던 더 정형화된 표현들과 비교해 보면 흥미로운 차이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소개한 표현들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활용해 보세요!
댓글